성동찬 님이 집필하신 <MySQL 퍼포먼스 최적화:실무 예제로 다가가는 MySQL 쿼리 작성> 을 읽었다.
초판이 발행된 지 10년이 넘었고, 실습 환경으로 MySQL 5.1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최신화되지 않는 내용이 있지만, 실무에서 MySQL을 사용하고 쿼리를 작성할 때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(아얘 모르고 있었다는 말이 더 정확할 것 같다.) 부분에 대해 알 수 있었다.
예시로 든 쿼리의 alias가 부정확한 부분이 있고, select i, j, s, d ... 과 같이 무성의한 네이밍은 아쉬운 부분이었다.
하지만 MySQL의 아키텍처, 조인 알고리즘, 스토리지 엔진의 종류 등 DB를 좀 더 깊이 있고 넓은 시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지식들을 많이 알게 된 것 같다.
그래서 전체 내용을 정리해가면서 내 것으로 만드려고 한다.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퍼포먼스 최적화를 읽고(5) - 스키마 레벨에서의 접근법 (0) | 2023.10.24 |
---|---|
MySQL 퍼포먼스 최적화를 읽고(4) - SQL 레벨에서의 접근법 (0) | 2023.10.24 |
MySQL 퍼포먼스 최적화를 읽고(3) - WHERE 조건 이해 (1) | 2023.10.24 |
MySQL 퍼포먼스 최적화를 읽고(2) - 쿼리 성능 진단은 최적화의 기초 (1) | 2023.10.24 |
MySQL 퍼포먼스 최적화를 읽고(1) - MySQL의 특징 (0) | 2023.10.21 |